언론보도

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1유형 출처표시
"공공누리"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공고 - 언론보도 게시물이며, 제목, 작성자, 내용, 파일 등의 정보를 제공합니다.
제목 산청군 ‘바로미’ 현장 기술지원단 운영
작성자 기획조정실
내용 산청군 ‘바로미’ 현장 기술지원단 운영
‘분질미’ 활용 쌀 가공산업 활성화
낮은 제분비용·글루텐프리 등 이점
국내육성한 조생종…병저항성도 높아

산청군(군수 이승화)은 ‘분질미 활용 쌀 가공산업 활성화 대책’의 하나로 ‘바로미’ 현장 기술지원단을 운영한다고 1일 밝혔다.

산청군농업기술센터는 우리나라 밀소비량이 지난 50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데 비해 밀자급률이 1% 내외에 불과하다는 점에 착안, 밀을 대체할 수 있는 분질미 보급과 생산량 증대를 위한 지원사업에 힘쓸 계획이다.

‘바로미’는 현재 영실영농조합법인을 비롯해 인근 개인 농가들이 재배하고 있다. 재배면적은 10ha 정도다.

산청지역에서 생산된 바로미는 전북 익산의 쌀 가공업체와 계약재배를 통해 판매처를 확보하고 있다.

‘바로미’는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직접 개발한 국내육성품종으로 건식제분이 가능해 제분비용을 절반 이하로 낮출 수 있다.

시장에서는 낮은 제분비용과 ‘글루텐프리’라는 이점 덕분에 빵이나 어묵, 소시지, 면류, 튀김가루, 만두피, 맥주 등 다양한 가공제품의 원료로 활용 되고 있다.

특히 도열병이나 흰잎마름병, 줄무늬잎마름병등 각종 병저항성이 높다. 7월 초순에 늦은 모내기가 가능한 조생종으로서 맥류나 조사료 등과 이모작재배에 유리한 품종이다.

산청 지역 내 바로미 생산단지에서도 이탈리안라이그라스(IRG)와 함께 이모작을 실시하는 중이다.

바로미의 종자소독방법은 기존 쌀 품종과 동일하다. 파종량은 10a당 어린모 200g 육묘가 적합하다.

오갈병 등 바이러스병 방제 및 만기재배 시 이화명나방 등의 나방류 방제에 유의해야 한다. 또한 배유가 무르기 때문에 수확물은 즉시 수분 14%로 건조해야 한다.

이승화 산청군수는 “바로미 보급을 통한 분질미 활용 활성화 사업은 농림축산식품부에서도 관심을 가지고 적극 추진 중인 정책”이라며 “우리 산청군은 지역 쌀 생산 농가들과 협력해 분질미 시장 활성화와 농가 소득증대를 위해 노력할 것”이라고 말했다.
파일
이전글 목록이나 다음글 목록으로 이동 하실 수 있습니다
이전글 < 바르게살기운동 산청군협의회, 산청 홍보 나서
다음글 >